체리쨈의 한발빠른소식

🦠 중화권 코로나19 재확산! 홍콩·중국·싱가포르 상황 심각 😱

체리쨈♡ 2025. 5. 18. 00:01
반응형

📢홍콩·중국·싱가포르 감염자 급증, 다시 긴장 모드 😷

최근 중화권에서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한동안 잠잠했던 코로나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모습인데요, 특히 홍콩, 중국 본토, 싱가포르 등 주요 지역에서 확진자 및 중증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백신 미접종자를 중심으로 속출하고 있다고합니다.각국 보건당국은 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홍콩 상황:한 달간 사망자 30명, 소아 확진자 급증

코로나19 백신 접종 홍콩 성도일보 제공

 

코로나19 중증 환자 사망률 높아져

홍콩 보건 당국 발표에 따르면, 최근 4주 동안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30명에 달했습니다.

👉 특히, 중증 성인 환자 81명 중 약 40%가 사망했다고 밝혔는데요, 이는 심각한 경고 신호로 해석됩니다.

 

 

📈 확진율 2배 상승

  • 지난달 6~12일 확진율: 6.21%
  • 이달 4~10일 확진율: 13.66%
  • 이는 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이며, 지역사회 내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소아 감염자도 급증, 병동 ‘포화’

 

홍콩의 한 공공병원 소아감염병 병동 책임자는 SCMP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전했습니다.

“병동에는 한 명의 코로나 환자도 없던 때가 있었지만, 지금은 백신을 맞지 않은 어린 환자들로 가득 찼습니다.”

이어서 그는,

“일부는 증상이 경미하지만, 고열이 2~3일간 지속되며 고통을 호소합니다. 부모님들의 백신 접종 결단이 필요합니다.”

👶 어린이의 백신 접종률이 낮은 만큼, 감염에 특히 취약한 상황입니다.

 


중국 본토: 양성률 2배 상승

 

“아직 통제 가능하지만 주의 필요”

 

중국 질병통제예방센터 발표에 따르면,

📊 3월 30일4월 6일 양성률: 7.5%

📊 5월 4일10일 양성률: 16.2%

👉 단 1개월 만에 2배 이상 상승한 셈입니다.

 

중국 시안교통대 제2부속병원의 감염내과 탕솽쑤이 주임은 다음과 같이 진단했습니다.

“최근 2주 사이 신규 환자 수가 기존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 전문가들은 지금이야말로 조기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감염자·입원자 모두 증가 

 

싱가포르 정부는 이달 들어 약 1년 만에 코로나19 감염자 통계를 다시 발표했습니다. 이는 그만큼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는 방증입니다.

 

📊 4월 27일~5월 3일 확진자 수: 1만4,200명

전주 대비 28% 증가

 

같은 기간 병원 입원자 수도 30% 증가해 의료체계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점차 지역사회로 확산되고 있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연예계도 예외 없다, 인기 가수 천이쉰 콘서트 취소

 

 

홍콩의 인기 가수 천이쉰(陳奕迅, Eason Chan)은 중국판 SNS인 웨이보(微博)를 통해 코로나19 확진 소식을 전했습니다.

 

그는 이번 주말 대만 가오슝에서 예정됐던 콘서트를 전격 취소했으며, 팬들에게 깊은 사과의 말을 남겼습니다.

 

문화계와 연예계 역시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해 직격탄을 맞고 있는 모습입니다.

 


전문가 조언: 백신 접종, 위생 수칙 철저히 지켜야

 

보건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개인 방역 수칙을 재차 강조하고 있습니다:

 

백신 및 부스터 접종 권장

✅ 실내 및 밀접 공간에서는 마스크 착용

손 자주 씻기, 외출 후 손소독제 사용

✅ 증상 발생 시 신속한 검사와 자가 격리

 

🛡️ 코로나19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만큼, 개인 방역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입니다.

 


 

 

한동안은 코로나19 소식이 점점 멀어지는 듯했어요.

마스크를 벗고 웃을 수 있었고,

일상으로 돌아가며 “이제 정말 끝났나 보다” 생각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다시 감염자 수가 늘어나고,

심지어 어린아이들까지 병원에 입원하고 있다는

뉴스를 보니 마음이 무거워집니다.

 

코로나가 완전히 사라진게 아니었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ㅠㅠ

조금만 방심하면 언제든 다시 우리 일상에 파고들 수 있다는 걸요

 

해외에서 시작된 확산이 국내로 이어지지 않으리란 보장도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은 다시 한 번 경계를 높이고

기본 방역 수칙을 생활화해야 할 때인것 같습니다 ~

 

마스크 쓰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지않아ㅠ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