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리쨈의 한발빠른소식

이완용 후손, 서울 700평 땅 되찾아 팔고 30억 ‘현금화’ 후 캐나다 이민✈️

체리쨈♡ 2025. 5. 1. 00:01
반응형

 

친일파 이완용의 증손자가 정부가 환수했던 이완용 소유의 서울 서대문구 재개발 예정지였던 북아현동 일대 700여 평의 땅을 되찾아 30억 원에 매각하고, 이를 정리한 후 캐나다로 이민을 간 사실이 최근 확인됐습니다.

 


다시 떠오른 '이완용'의 이름 

 

 

친일파의 대명사 이완용.

2025년을 살아가는 지금, 누가 다시 이완용의 이름을 꺼냈을까요?

 

그의 증손자 이윤형 씨가 서울 한복판 북아현동 재개발 부지 700평을 매각한 뒤, 30억 원을 손에 쥐고 캐나다로 떠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이 땅은 원래 일제 강점기 때 이완용이 친일 행위로 축적한 재산으로, 정부가 환수했지만, 이윤형 씨가 법원 판결로 다시 되찾았습니다. 그리고 그 땅을 1997년 11월 매도한 뒤 해외로 이민을 떠난 것이죠.

그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습니다

 

728x90

되찾은 땅, 그리고 엄청난 시세차익

 

  • 위치: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 2354㎡ (약 712평)
  • 평당 시세 (당시 기준): 약 450만 원
  • 총 매도 추정가: 약 30억 원

이 지역은 2008년부터 ‘북아현2구역’ 재개발 사업에 포함되며,

지하 3층 ~ 지상 29층, 총 2320가구 대단지 아파트로 개발 중입니다.

 

이 땅은 그저 땅 한 필지가 아니라, 수천억 원의 개발 이익이 걸린 핵심 지역입니다. 과연 이윤형 씨는 과거의 ‘조상 특혜’를 물려받아 ‘미래의 부동산 이익’까지 챙긴 것일까요?

 


이완용의 어마어마한 토지 규모 

 

  • 총 보유 규모: 2,233만㎡ (약 676만 평)
  • 서울 여의도 면적의 5.4배
  • 환수된 비율: 단 0.05%, 약 3,300평에 불과

 

대부분의 재산은 이미 현금화됐고,

남은 일부도 후손들이 법적 소송으로 되찾아갔다고 합니다.

결국 대한민국은 ‘역사적 정의 실현’에 실패한 셈이 됐죠.

 


법적으로는 합법, 도덕적으로는? 

 

 

 

법원은 이윤형 씨의 토지반환청구소송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친일파의 땅이라 하더라도, 당시엔 몰수할 법률적 근거가 없었다.
따라서 재산권은 보호되어야 하며, 되돌려주는 것이 맞다.”

 

 

1심, 2심, 대법원까지 모두 원고(이윤형) 승소.

결국 국가는 이완용 명의의 땅을 법적으로 되돌려줄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에 있습니다. 2005년,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지만, 이윤형 씨의 사건은 그 이전이라 소급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즉, 법은 이미 늦었고, 이윤형 씨는 정당하게(?) 땅을 되찾고 매각한 뒤 캐나다로 이민, 더 이상 한국 땅을 밟지 않았습니다.

 


도대체 무엇이 잘못된 걸까? 

 

이 사건은 ‘법의 정의’와 ‘역사의 정의’ 사이의 충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법은 재산권 보호를 우선합니다.
  • 하지만 국민 정서는 나라를 팔아 모은 재산은 국가가 환수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 법이 너무 늦게 만들어졌고, 그 틈을 친일파 후손들이 파고든 것입니다.

 

이 사건을 두고 많은 이들이 말합니다.

“나라 팔아 모은 돈으로,
손자들은 캐나다 가서 평생 안심하고 잘 살게 됐다.”

역사적 반성과 재산 환수는 이제라도 바로잡아야 할 시대적 과제입니다

 

 


 

 

역사는 잊지 않지만, 법은 잊었습니다....

 

싹다 몰수해서 독립투사와 그 후손들에게 전해줬어야하는데..

왜 환수한 땅을 왜 다시 돌려줬는지 정말 이해가 안갑니다

 

나라를 팔아 축적한 땅...친일파 후손은 30억을 챙기고

조용히 외국으로 떠났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사실조차 뒤늦게 뉴스로 접해야만 했습니다.

 

친일의 대가를 오늘날까지 누리는 현실..

 

친일파의 후손, 독립운동가의 후손...

극명하게 대비되는 후손들의 삶...

 

그리고 그 현실을 막지 못한 법과 제도의 빈틈은

대한민국이 아직도 과거와 완전히 결별하지 못했다는 증거입니다

 

728x90
반응형